
7장 기타 정보
용어 설명
120
용어 설명
잘 모르거나 궁금한 용어가 있을때 찾아보세요.
가상채널
디지털 채널에서는 가상채널이라는 것을 사용합니다.
가상채널이란 각 방송사별로 할당된 채널번호를 사용자가 지역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표시기능입니다.
디지털 채널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자동채널설정을 하거나 또는
지상파의 경우 각 지역에 따라 방송해주는 UHF 채널 번호를 직접
선국하거나 유선방송의 경우 지역 유선 방송사에서 할당하는
방송채널 번호를 직접 선국 후 표시되는 가상채널을 선택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서울의 관악산에서 송출하는 UHF 14(MBC),
15(KBS1), 16(SBS), 17(KBS2), 18(EBS)를 선국한 후 나오는
가상채널번호 11-1(MBC), 9-1(KBS1), 6-1(SBS), 7-1(KBS2),
10-1(EBS)를 사용하게 되며 가상번호는 전국적으로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지역방송사별로 다르게 표시될 수 있습니다.
(디지털 채널은 지역에 따라 다르게 할당될 수 있으며 정책에
의해 변경될 수있으므로 각 지역방송사 및 유선방송사에
문의하세요.) 가상번호가 저장되면 디지털채널을 수신할 수 있는
경우로 DTV+ 버튼과 가상채널의 앞 두자리를 누르면 해당
채널을 시청할 수 있습니다.
나만의 색상 조정
사용자 선호도가 가장 민감한 사람의 피부색, 하늘색, 잔디색
각각을 자동 선택 모드 또는 미세 조정 모드를 사용하여 다른
색상의 변질없이 원하는 색상(하늘색, 잔디색, 피부색, 표준,
사용자 조정)으로 조정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동시 화면
두 개의 영상입력을 하나의 화면에서 동시에볼수있는기능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TV와 비디오를 동시에 보는 것이
가능합니다.
디지털방송
방송국에서 영상/음성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미국 지상파 디지털
방송 규격인 ATSC 규격으로 전송하는 신호를 의미합니다.
모노
음성신호를 1개의 채널로만 출력하는 방식입니다. 입체감을
느끼기 힘들며 1개의 스피커로 재생 가능합니다.
서브 우퍼
보통 150Hz 정도의 낮은 초저역 주파수를 재생시키기 위한 저음
출력 전용 스피커입니다. 앰프가 내장된 액티브형과 별도의
앰프를 연결해야 하는 패시브 형이 있습니다.
스테레오
음성신호를 2개의 채널로 출력하는 방식입니다. 좌/우의 분리로
입체감을 재현하며 2개의 스피커로 재생 가능합니다.
색약자용 모드
색약자 특성에 따라 적색이나 녹색 또는 청색을 조정하여 제대로
볼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아날로그방송
방송국에서 영상/음성 신호를 NTSC 규격으로 전송하는 기존의
신호를 말합니다.
안테나입력 단자
TV의 안테나선을 연결하는 단자입니다. 둥근 모양의 동축선을
연결하도록 되어 있으며 공중파 방송을 시청할 때 주로
이용합니다.
영문자막(영문캡션)
방송국이나 비디오 테이프를 통해 영문으로 된 캡션(자막)이나
문자정보 서비스를볼수있는기능으로 AFKN 방송이나
CC 마크가 있는 비디오 테이프를 이용하여 영어공부를 할 수
있습니다.
영상/음성 단자
영상/음성 단자가 없는 구형TV의 3채널 또는 4채널을 통해
비디오를 시청하는 경우 화질 및 음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습니다. 영상과 음성을 분리하여 전송해주는 영상/음성 단자를
이용하면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영상단자는
노란색, 음성단자는 흰색과 빨간색으로 구별됩니다.
와이드 화면
기존의 TV보다 가로로 긴 화면을 말합니다. 가로:세로 비율이
일반화면은 4:3이지만 와이드 화면은 16:9의 화면비를
가집니다.
외부입력
TV 방송 이외의 비디오나 캠코더, DVD 등의
영상기기를 입력하는 것을 외부입력이라고 합니다.
Comentários a estes Manuais